- 바로가기 메뉴
- 주요메뉴 바로가기
- 본문 바로가기
- 하단메뉴 바로가기
이용현황
> 지하수개발 > 우리나라지하수 > 이용현황
수자원 이용량 (2001~2020년 수자원장기종합계획)

- 수자원 총량은 북한지역에서의 유입량 23억㎥이 포함된 수량임
- 이용가능한 수자원량은 강수량을 이용하여 산정한 유출량(’86~’15)이며, 손실량은 수자원 총량에서 이용가능한 수자원량을 제외한 값
- 홍수기 유출량은 6~9월의 유출량
- 댐용수공급량은 계획공급량, 지하수이용량은 연간 실지하수 이용량, 하천수 이용량은 총이용량에서 댐용수와 지하수 이용량의 차로 산정
- 바다로 유실량은 이용가능한 수자원량에서 총이용량을 제외한 값
- 총이용량 372억㎥은 용수이용량(’14)과 하천 유지용수 (’15)로 구성
용도별 지하수 이용현황
- 농업용수 이용량 14.9억m³ (전체 사용량의 51.0%)
- 생활용수 이용량 12.3억m³ (전체 사용량의 42.2%)
- 기타(공업용수/온천수/먹는샘물 등) 이용량 2억m³ (전체 사용량의 6.9%)

행정구역별 지하수 이용현황
- 행정구역별로 지하수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지역은 경기도 (4.1억m³/년: 13.9%) → 전라남도(3.8억m³/년: 12.9%) →
충청남도(3.6억m³/년: 12.5%)
- 서울 등 8대 특/광역시에는 전국 지하수 이용량의 6.8%에 해당하는 2억m³/년의 지하수 사용